지금 내가 아는 남편의 모습은
처음 만났을 때는 상상도 못 했던 토마스씨의 모습이다.
연애하는 동안에는 생각보다 애교가 많다 였는데,
결혼하고 보니 숨겨온 애교본능을 완전 폭파시키고 있다.
그런 반면 남편이 아는 내 모습은 (내가 알던 내 모습도)
처음 만났을 때부터 예상했지만 조금 더 심한 모습이다.
연애하는 동안에도 생각보다 애교가 없다 였는데,
결혼하고 보니 숨겨놓은 애교까지 모두 소진한 나머지
더 무뚝뚝한 마눌이 되었다.
-_-
우리 토마스씨는 한국어를 어설프게 배워서
아주 기초적인 단어 또는 내가 자주 쓰는 단어들 위주로 구사하는데
일단, 자기가 안 단어는 최대한 활용하기 때문에
어설프게나마 조금 웃긴 에피소드를 종종 연출해 준다.
그중에 하나.
귀찮아 vs 괜찮아
일단 본인에게는 두 개의 단어가 비슷하게 들린다고 한다.
집에 내가 있으면 날 귀찮게 하는 재미에 공부할 수 없어서
집에서는 잘 공부하지 않는데,
간혹 집에 있으면 허그충전이 필요하다면서 좀 귀찮게 하는 경향이 있다.
그때마다 내가 귀찮다고 일부러 한국어로 말했고 그렇게 그 단어를 익히게 되었다.
그리고 원래 괜찮아라는 단어를 알고 있었다.
막 귀찮게 하면, 내가 말한다.
" 아우! 귀찮아!!!! "
그러면, 그는 묻는다.
" 귀찮아? 괜찮아?"
다시 내가 대답한다.
"귀. 찮.아.!!!!!!!!!!!!!!!!!!! "
그러면, 그는 알았다는 듯이,
"알았어~ 괜.찮.아~~~~~ 괜찮아.괜찮아~"
이런 장난 무한 반복.
(음성지원을 할 수 없음이 아쉬울 따름 -_- )
두 번째, 싸 & 비싸
남편은 밖에서 우리가 대화할 때
남들이 우리 단어를 얼핏이라도 듣고
우리 대화 내용 또는 테마를 아는 것이 싫단다.
그래서 몇 개 안 되는 한국어를 특히 밖에서 아주 열심히 활용하는데,
특히 '싸'와 '비싸'라는 단어.
한번은 시엄마랑 셋이 전등을 보러 갔는데
나는 너무 예쁘다고 독일어로 연신 감탄을 연발했고
옆에서 토마스씨는 계속 한국어로
" 비싸. 비싸. 비싸. 진국이 비싸! "
(진국이..란 단어의 토마스 어원은 http://varamizoa.tistory.com/trackback/24 여기로)
시엄마는 아들이 계속 한국어를 쓰니
내게 슬쩍 와서 물어보셨다.
" 쟤 한국어로 자꾸 뭐라는 거니? 비싸다고 하는 거지? " 하심. ㅋ
외국어 욕심 좀 있으신 시엄마도 하고 싶으셔서
아들 옆에서 같이 비싸. 비싸 하면서 주인과 점원 옆을 지나셨다.
(시엄마 발음은 ㅆ이 안돼서, 비사. 비사 비사 하시면서)
그 모습을 보고 있는 한국인으로서, 한국이 아니어서 참 다행이었.. ㅠㅠ
세 번째. 외국인 & 왜그래
나는 농담 반, 진담 반 자주 사랑하느냐고 물어보고
얼마나 사랑하느냐고 물어보는 습관이 있다.
연애 때 스스로는 쑥스러워서 사랑한다 보고 싶다.
같은 감정 표현의 단어를 입 밖으로 내는 것을
매우 쑥스러워했던 그였기 때문에.
이제는 습관이 된 건지 결혼하고 그가 바뀐 것인지는
잘 모르겠지만, 지금은 아주아주 표현을 잘하고
또 뜬금없이 자주 표현해서 놀랍긴 하지만
만족스러운 변화에 매우 기분이 좋다.
내가 그를 변화시켰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
나는 이런 자의에 의한 변화가 좋다.
원래 나는 상대방에게 변화를 강요하는 걸 좋아하지도 않고
나 역시 강요받는 것을 무척 답답하고 못 견뎌 한다.
내가 변화 시킨것은 아니지만 내 질문의 습관이 일조했다고는 생각한다.
그리고 그런 내 질문에 한 번도 화내거나 짜증 내지 않고
대답해준 남편에게는 무척 고맙게 생각한다.
그런 그도 가끔은 어린아이처럼 반복하는 내 질문이
귀찮았을 것이다.
이것은 그에 관한 에피소드다.
내가 " 나 사랑해?" 라고 물었을 때
그는 늘 "응" 또는 " 네네네" 라고 대답하는데
그러면 내가 "왜?" 라고 묻는다.
나> 왜?? 왜에에에에??
토> 왜 그래??
나> ???!??!?!???? 아니야. 다시. 왜에??
토> 왜국인! (외국인)
이라고 대답하며 넘기며 어이없어하는 내게.
덧붙여 그는 말한다.
언제나 바보 같은 질문에는 바보처럼 응답해야한다고.
이제는 내가 묻지 않아도 자주 표현해주는 남편이지만,
이 습관을 왜인지 버리지 못하겠다. 그냥 유지하고 싶다.
언젠가 한국어를 더 많이 배우면 더 좋은 아이디어로 나를 웃게 해줄지도 모르니.
+)) 덧붙인 사진은 롱디 기간에 남편이 한국어를 배울 때
키보드에 한글을 오려 붙인 것과
일주일에 한두 번씩 아시아마켓에서
라면이나 이것저것 사다 모아둔 상자를 자랑했던 날이다.
언젠가 그때만큼 열정적으로 다시 한국어를 배우겠지...
비정상에 나오는 외국인들처럼은 바라지도 않는다. ㅋ
그러나 나는 강요하는 성격이 아니니
느긋하게 기다려본다. 그 언젠가를.
세가지 밖에 안 썼는데 쓰다보니 시간이 늦어서
다음에 다시 한번 정리해 보기로 하고 오늘은 이만~
'일상, in DE > 오늘 하루, feat. Thomas 씨 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외국인남편 놀라게 한 한국식 농담 / 독일식 아파트 (8) | 2016.01.27 |
---|---|
선물 못 하는 남자 / 독일 결혼식 (4) | 2016.01.21 |
김치 식혀 먹는 남자 (3) | 2016.01.19 |
부부싸움을 부른 외국인 남편의 한국어 (8) | 2016.01.16 |
소소한 문화 차이 - 2 (웃음,재채기에 관한) (6) | 2015.12.14 |
무서운 거 못 보는 토마스씨. (2) | 2015.12.02 |
전국에 진국이에게 미안합니다. (2) | 2015.11.19 |
소소한 문화 충격 - 그때는 그랬다 3. (4) | 2015.11.19 |
내 시월드 (feat. 토마스네 가족) (4) | 2015.11.14 |
독일 사람들은 안 먹는 과일 - 그때는 그랬다 2. (5) | 2015.11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