동생이 한국의 베이커리에서 수년간 일한 제빵사인데,
연말에 동생이 방문해서 5년 만에 한국식 생크림 케이크를 먹는 기쁨을 누리게 되었다.
독일에는 부드러운 빵부터 호밀빵, 딱딱한 빵등 종류가 많고
다 맛도 좋지만, 내 입맛은 이미 한국식 빵에 길든 상태라
늘 아쉬웠다.
독일 빵은 프랑스 빵처럼 유럽에서도 꽤 유명하다.
그렇지만, 독일에 아무리 온갖 빵 종류가 있다고 한들,
내가 나고 자란 한국식 빵과는 좀 다르다.
게다가 자주 사 먹던 케이크가 독일엔 없다.
한국식 케이크와 많이 다르다.
일단 크림이 많고 무척 달고 느끼하다.
한국식 생크림 버터크림 케이크는 구하기 힘들다.
그래서 내가 늘 먹고 싶은 것 중에 하나.
그런 동생이 만들어 준 생크림 케이크.
나는 집에서 제빵을 안 하고 토마스 씨도 잘 안 하는 편이라
도구가 없어서 동생이 실력 발휘를 할 수 없었지만,
그래도 5년만에 먹어본 생크림 케이크, 그 맛은 제대로 였다.
이건 만들고 남은 재료로 케이크처럼 쌓아 올린 건데도 맛있었다.
한국으로 돌아가기 전날까지 동생은 나를 위해 케이크를 구웠다. ㅠㅠ
작년에 한 번 시도했다가 망한 후로 시도하지 않고
내가 언제 한국을 가나,
또는 동생이 언제쯤 놀러 오려나 오매불망 기다리기만 했다.
재작년에 내가 열심히 구웠던 생크림 케이크.
토마스 씨는 한 입 먹고 내게 "많이 먹어~" 했던 그 케이크.
드디어 동생이 와서 감격의 케이크를 먹게 되었는데
그야말로 감동의 도가니.
비록 제대로 된 도구가 없어 동생이 애를 좀 먹었지만,
맛만큼은 제대로였기에 아는 동생들 나눠주고
시댁 식구들도 나눠주며 생크림 케이크 파티를 했다.
독일엔 한국식 생크림 케이크가 없어서
한 번도 생크림 케이크를 드셔본 일이 없었던 시댁 식구들.
평소에 후식으로 케이크나 단 종류를 별로 드시지 않으시던
시아버지께서도 앉은 자리에서 두 조각이나 크게 잘라 드셨고
시어머니도 두 조각, 다음 날 아침에도 한 조각, 점심에도 한 조각씩 드시더니
며칠 사이에 체중이 무려 2kg이 느셨다고 하셨지만, 매우 좋아하셨다.
촉촉한 빵에 부드러운 크림이 독일식 케이크보다 달지도 않고
한없이 입으로 들어간다고.
그렇게 동생이 처음 만들었던 케이크를 포함해 두 개의 케이크가 하루 만에 사라지고
나중에 2개를 더 만들었는데 그것 또한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.
한국식 생크림 케이크 독일에서도 통하니 괜히 나도 기분이 좋고
동생은 많이 의아해했다.
'일상, in DE > 우리 하루, feat. 독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시간에 30유로 벌기 (6) | 2016.03.08 |
---|---|
텔레파시 통한 장보기 (13) | 2016.03.04 |
패스트 푸드, 독일에서 대성공하기 어려운 이유 (12) | 2016.02.16 |
적응 안 되는 독일식 유머 (6) | 2016.02.14 |
독일의 빵 종류 (6) | 2016.02.09 |
나는 독일의 10%다.? (4) | 2016.02.08 |
도도한 시누이 이야기 (6) | 2016.01.26 |
오랜만에 보는 우리 웨딩 포토. (3) | 2016.01.21 |
독일의 시즌 세일 (7) | 2016.01.13 |
예측 불가 독일 날씨 (5) | 2015.12.22 |